개요
24년 9월 개강과 함께 마지막 학기, 3개월 가량의 수업 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고
우리팀의 프로젝트 주제는 재테크 블로그로 결정되었다.
이전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이번 프로젝트의 경우 블로그에 상세하게 과정을 적으려는 이유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FE 팀원들(나 포함)중 내가 제일 경험이 많아 나름 파트장 같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하고, 이에 따라 문제가 생기거나 개발 중 궁금증이 생겼을 때 척척 해결해주는 포지션이 되고자.
- 이제껏 기술 스택을 선정하고 사용할 때 이유없이 사용한 경우가 빈번했기에 이번 기회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항상 이유를 생각하며 기술을 선정하고, 기억하는 습관을 갖고자.
프로젝트의 문서화 작업은 이번주에 끝이나서 본격적으로 개발이 코앞이기에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그에 맞는 초기세팅이나 기술 선정을 차근차근 진행하려 한다.
전에 했던 프로젝트와 비슷한 파일구조, 비슷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겠지만 이전과는 다르게 이유를 알고 사용을 하려는 점이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의의가 아닐까 싶다.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주 기능으로는 크게 카카오 로그인, 블로그 crud, 모의투자, 주가예측, ai 뉴스 요약이 있다.
기능을 구현하고 개발함에 있어 여러가지 고민거리가 생겼다.
메인 프레임워크
전반적으로 조회하고 데이터들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기능들이 많기에 프레임 워크를 SSR의 장점인 Next를 사용할지 React를 사용할까 고민 중이다. 아직 어떤 방식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상황에 적절한지 감도 안오는 상황이다..
API 요청방식
api요청 방식도 고민 중인데 지금까지 Next에서 제공하는 api routing을 사용했는데 주변 Next 프로젝트를 해본 사람들이 거의 axios를 사용했길래 이에대해도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무한 스크롤
블로그의 경우 검색에서 무한 스크롤을 구현해야하는데 이거의 경우 페이징과 유사하지만 좀 더 이해를 요구하고 보통 React Query 와Intersection Observer API를 사용하는 것 같던데 이거에 대해서도 찾아봐야 할 것 같다.
컨텐츠 저장 방식
마지막으로 블로그에서 사용자가 작성가능한 컨텐츠 중 이미지와 영상에 대해서는 이전에 포폴 게시 프로젝트에선 s3 bucket을 통해 직접 저장하는 방식을 했었는데 이와 비슷한 방식을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이든다.
웹소켓으로 주식정보 가져오기
이중에 내가 고군분투를 할 거라고 생각이 드는 부분은 모의투자와 주가예측으로 둘 다 주식 정보를 제공하는 open api를 웹소켓 방식으로 통신해야하고, 이 웹소켓 방식이 주변에서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어 걱정이 꽤나된다.
아직 typescript와 css라이브러리로 tailwind를 쓴다는 점 말고는 확신을 가질만한게 없다,,,
프로젝트 코드 초기세팅에 있어서는 다음글에 다룰 것이고, 이번 프로젝트는 개발말고도 협업 툴도 slack과 zira를 처음 사용하기에 여러모로 새로운게 많기에 많은 것들을 배워가는 한 학기가 될 것 같다.
결론
쉽지않은 프로젝트가 되겠지만 분명 열심히하고 개발한다면 나에게 있어 프로젝트 결과물로나, 좋은 습관으로서 긍정적인 무언가가 찾아올 거라는 확신이 든다. 그렇기에 나름 올해 마지막을 장식할 이 프로젝트를 후회없이 열심히 고민하고, 생각하고 개발하며, 기록하는 내가 됐으면 한다.
'코딩 > Flex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블로그 프로젝트 (5) - Next.js의 API 사전 연결 (3) | 2024.11.20 |
---|---|
재테크 블로그 프로젝트 (4) - 중간 개발 점검 NextJS 폴더구조 재구성 (4) | 2024.10.28 |
재테크 블로그 프로젝트 (3) - KIS(한국투자증권) API연동 (12) | 2024.10.03 |
재테크 블로그 프로젝트 (2) - 기술선정 (2) | 2024.10.02 |
재테크 블로그 프로젝트(1)-초기세팅 (2)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