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UNCLASSIFIED

Dynamic Import 동적 임포트전에 프로젝트 진행 중 빌드 크기 및 초기 렌더링 속도 이슈가 있어서 도입했던 것인데지금도 물론 초보지만 그때는 걸음마 뗀 망아지였기에 그냥 쓰라길래 쓰는 그런 기술인데 궁금해서 찾아봤다.내가 당시 사용한 것과 각 블로그나 문서에서 설명하는 예시가 비슷해 이해가 더 빠르게 됐다. 각설하고 알아보자Dynamic?'동적'이라는 말이 붙은 것 처럼 경우에 따라 필요 코드를 import 하는 것으로버튼을 눌렀을 때 보여져야하는 모달창이라던가, nav바 클릭에 따라 보여지는 콘텐츠가 다른경우 사용한다.이로써 초기에 불필요한 파일이  초기 번들에 포함되는 것을 막고 별도의 번들에 포함시켜 초기에 로딩해야 하는 스크립트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당연히 초기에 로딩되는 번들 ..
매번 깃허브 파일 여러 개 한 번에 올리는 법을 까먹어서 검색하곤 한다.한번 정리하면서 제대로 기억하고 + 나중에 잊더라도 내가 쓴 글 보면서 반성하자. step 1. 깃허브 레포지토리 생성(되어있다면 생략) step 2. 레포지토리 주소 기억 + 업로드하려는 파일에서 git bash 실행 step 3. 파일 세팅 + 업로드git init    (git 파일 생성)git add . (우클릭 한 파일 안의 모든 파일 관리 add 띄우고 .인거 잘 작성하자)git status  (내가 하려는 파일들이 맞는지 확인)git commit -m "커밋 내용"git remote add origin 위에서 기억한 주소git push -u origin master (끝)step 4. 업로드된 거 보고 뿌듯해하기
최만규
'코딩/UNCLASSIFIED'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