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재테크 블로그의 기능 중 랜딩페이지, 모의투자, 주가예측 파트에서 여러 가지 주식 정보를 요하는 기능이 있어 주식정보를 제공하는 open api를 찾던 중 빈번히 사용되는 KIS에서 제공하는 api를 알게 되었고 이를 해당 파트 개발 전 미리 연결해 보기로 했다.1. 한국 투자 증권 계정 만들기나의 경우 한국투자 증권 계정, 계좌가 없기에 아이디, 비밀번호도 당연히 없었다. 그래서 KIS 페이지를 통해 인증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진짜 많다) 계정을 만든다.참고로 계좌가 없는 경우 오픈 api 사용이 불가하기에 계좌를 만들어준다. 본인의 경우 이미 주거래은행 및 주식거래 계좌가 있어 그냥 제일 기능이 협소한 계좌로 만들었다. 추가로 이 과정에서 인증하는 과정이 앱을 통해 QR로 인정하는게 간편해..
개요 이번 프로젝트 만큼은 기술 선정 이유를 정하고 시작하기로 계획 했기에 본격적 개발 직전에 프레임워크와 기타 기술들 선정 이유들을 정리하고자 한다.타이밍 좋게 학교 과제 중에서도 front-end 개발 기술스택을 정리해야하는 과제가 있다. TypeScript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듯한 타입스크립트 얼마 전 수업 중 리액트 실습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일반 js로 파일을 작성하다보니 props 혹은 함수에 타입지정을 하지 않다보니 불러오거나 사용할 때 내부 요소가 뭐가 들어가야하고 타입 오타가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 점검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실습이니 망정이지, 프로젝트였다면 분명 엄청 번거로웠을 것이다. 그리고 이번 프로젝트의 경우 팀원 3명과 작업하기에 TypeScript가 필요한 ..
개요 다음주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초기세팅을하고 팀원들에게 설명을 주말에 해주는게 좋을거 같아서 초기세팅을 진행했다.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라이브러리는 나중에 해당 기능을 개발할 때 차차 추가하도록하고, 나머지 사항들을 세팅하며 프로젝트를 생성해보려한다. 프로젝트 생성항상 사용하는 옵션을 사용했다지금까지 이 옵션으로 쭉 사용했다.Next를 통해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typescript, es-lint, Tailwind-CSS는 항상 고정으로 사용했다. 다만,이번에 css 라이브러리를 전에 썼던 styled-components를 사용할까 했지만 내가 tailwind도 그렇고 처음 배웠을 때 tailwind가 적응도 빠르고 남의 코드 볼 때도 더 이해가 잘됐기에 tailwind를 이번에도 사용하기로 했다. ..
개요 24년 9월 개강과 함께 마지막 학기, 3개월 가량의 수업 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고우리팀의 프로젝트 주제는 재테크 블로그로 결정되었다. 이전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이번 프로젝트의 경우 블로그에 상세하게 과정을 적으려는 이유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프로젝트를 진행하는 FE 팀원들(나 포함)중 내가 제일 경험이 많아 나름 파트장 같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하고, 이에 따라 문제가 생기거나 개발 중 궁금증이 생겼을 때 척척 해결해주는 포지션이 되고자.이제껏 기술 스택을 선정하고 사용할 때 이유없이 사용한 경우가 빈번했기에 이번 기회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항상 이유를 생각하며 기술을 선정하고, 기억하는 습관을 갖고자. 프로젝트의 문서화 작업은 이번주에 끝이나서 본격적으로 개발이 코앞이기에 프로젝트 요구사..